경직된 입주자 선정기준을 가지고 있는
공공의 청년주택, 집을 시장 상품으로만 여기는
민간임대차시장의 청년주택과 다르게
터무늬있는집은 청년에게 필요한 집의 기준을
출자를 통해 시민이 직접 정합니다.
청년 주거문제는 청년들만의 문제가 아니며
모든 세대가 함께 힘을 모아 해결해야 할 중요한 사회문제입니다. 터무늬있는집은 세대 간
연대를 통한 시민출자로 청년의 대안주거 모델을 만듭니다.
터무늬있는집 청년들은 주거공동체를 넘어
상호돌봄이 있는 지역사회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지역 주민들의 좋은 이웃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지역사회와 협력해 다양한 공동체 활동을 펼칩니다.
누적 출자금
873,598,330원
출자금 잔액
570,000,000원
개인출자자 및 출자단체
개인 168명 | 단체 16곳
*2023년 6월 30일 기준
시민출자자
시민출자자님의 출자금은 터무늬있는집 조성을 위해서만 사용하며, 연대출자기간(3년) 이후에 언제든지 상환요청을 하면 원금을 전액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지역 청년단체 (터무늬 입주단체)
터무늬있는집에 입주한 청년단체는 해당 주택을 자치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다양한 지역활동과 청년활동을 스스로 기획하고 실행합니다.
사회투자지원재단 (관리책임자)
사회투자지원재단은 부설 기관인 터무늬제작소를 통해 터무늬있는집의 모든 회계와 행정을 책임지고 관리하며, 또한 터무늬있는집 사업 전반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터무늬있는집의 출자자가 된 가장 큰 이유는 제가 지금까지 봤던 주거 대안 중 가장 신박한 모델이었기 때문이에요. 주거 대안을 만든다고 하면 보통은 새로 짓는 걸 생각하는데, 새로 짓는 건 속도나 공급 측면에서 분명한 한계가 있거든요.
그런데 터무늬있는집은 기존의 전세제도를 활용해 청년들에게 보증금을 지원해주면서 그걸 다른 세대가 지지해주는 방식으로 푼 거잖아요. 저는 이거야말로 한국의 사정에 가장 잘 맞는 참신한 모델이라고 생각합니다. 터무늬있는집에 입주하는 청년들이 느끼는 효용도 클 것 같고, 출자하시는 분들이 느끼는 보람도 클 것 같아요.
저는 원래 잘 안될 것 같은 일에는 절대 돈을 쓰지 않는데 터무늬있는집은 잘 될 것 같다는 확신이 들었고, 그래서 출자를 했어요. 터무늬있는집에 출자를 할지 말지 고민하고 계시는 분이 계시다면, 이거 정말 괜찮은 사업이니까 하루라도 빨리 출자자가 되시기를 권합니다.
안현찬 출자자(서울연구원 연구위원)
저희 세대의 사람들은 특별한 계기가 있지 않으면 지금 청년 세대들이 어떤 생활을 하고 있는지 알기가 쉽지 않거든요. 터무늬있는집의 출자자가 되니 청년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어서 좋더라고요.
터무늬있는집에서 청년들이 즐겁게 살아가는 모습을 볼 때면 제가 굉장히 많은 돈을 출자한 것도 아닌데 다른 어떤 단체에 후원을 한 것보다 더 큰 보람을 느껴요.
단순히 돈만 내고 끝나는 게 아니라 청년들을 직접 만날 수도 있고, 나중에 출자금까지 그대로 돌려주니 세상에 이보다 좋은 일이 어디 있겠어요. 우리사회에 터무늬있는집과 같은 일들이 좀 더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곽은이 출자자(사운드백신(주) 대표)
터무늬있는집 활동 가운데 가장 매력적이고 또 소중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시장이 결정한 임대료가 아니라 청년들이 감당 가능한 임대료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사회적 연대를 모으는 활동을 꾸준히 해왔던 부분인 것 같아요.
청년들의 경제적인 불안을 해소하는 데 있어 주거문제는 정말 중요한 요소거든요. 터무늬있는집 출자자를 비롯한 구성원들이 그만큼의 고민과 노력, 헌신을 했기에 가능했던 거라 생각하고, 터무늬있는집이 꾸준히 추구해 온 사회적 연대의 힘이 이 지점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고 생각합니다.
터무늬있는집을 필요로 하는 청년들이 여전히 많습니다. 터무늬있는집의 활동에 더 많은 분들이 연대해주셨으면 좋겠고, 가능하다면 출자로 그 마음을 적극적으로 표현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조만성 대표(다다다협동조합)
시민 중심의 민주주의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 무엇이든 국가에 책임을 다 지우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오히려 시민의 자발적인 활동이 많아져야 공공도 다양한 영역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때로는 공공을 유인하는 역할도 하게 되거든요.
사회가 발전할수록 사람들의 욕구와 니즈가 다양해지는데 정부가 맞춤형으로 모두 다 해결할 수가 없어요. 사회적경제 주체가 공급하는 주택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생각해요. 사회적경제 주체마다 제공하려는 주거서비스의 종류와 성격이 다 다르거든요. 주택을 대량으로 공급해야 하는 국가는 획일적일 수밖에 없는데, 거기서 발생하는 틈새를 사회적경제 주체가 채워주는 거죠.
터무늬있는집도 이 부분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특히 시민들의 자발적인 출자로 자원을 확보하고 있는데, 터무늬있는집만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지켜나갈 수 있는 힘이 바로 여기서 나오는 거거든요. 이 부분이 잘 유지될 수 있도록 출자에 더 많은 분들이 참여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임재만 출자자(세종대학교 부동산학과)
Hey! Recently we were working on a project for ..We design and build digital products people enjoy using...
A new project is an opportunity to create something unique.We are a Creative Digital Agency based in Buenos Aires, Argentina. We take pride in designing and building...
We look forward to working with you on your next projectAs an interdisciplinary agile team, our production process is flexible, collaborative, and adapts to each client’s needs
COPYRIGHT ⓒ 2023 themuni All rights reserved.